2.3. 킥스타트 프로파일
킥스타트 프로파일은 설치에 사용할 설정 옵션을 지정합니다.
킥스타트 프로파일은 마법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일련의 질문에 대한 대답에 따라 프로파일을 생성합니다. 이는 raw 메소드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도 있으며, 이는 프로파일의 내용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게 합니다.
절차 2.3. 마법사로 킥스타트 프로파일 생성
을 선택합니다. - 적절한 레이블을 제공하고 원하는 기본 채널 및 킥스타트 가능한 트리를 선택합니다.
- 킥스타트 프로파일의 다운로드 위치를 선택합니다. 사용자 정의 배포 버전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트리의 위치를 URI (HTTP와 FTP를 모두 지원)로 입력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기본값 옵션을 사용합니다. 다음을 클릭하여 계속 진행합니다.
- root 암호를 입력하고 완료를 클릭하여 프로파일 생성을 완료합니다.
- 완전한 킥스타트 프로파일이 생성됩니다. 킥스타트 파일을 클릭하여 프로파일을 확인합니다.
절차 2.4. Raw 메소드를 사용하여 킥스타트 프로파일 생성
를 선택합니다 - 적절한 레이블을 제공하고 원하는 배포판을 선택합니다.
- 원하는 가상화 유형을 선택합니다. 가상화 유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가상화 유형 에서 참조하십시오.
- 기존의 킥스타트 프로파일이 있을 경우,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파일 내용 텍스트 상자에 있는 킥스타트 프로파일을 작성합니다.다음에는 시작 부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raw 킥스타트 예제가 있습니다:
Copy to Clipboard Copied! Toggle word wrap Toggle overflow - RHN Satellite 서버는 킥스타트의
url로 지정된 배포 버전을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프로파일에url --url옵션을 포함시켜야 합니다:url --url http://satellite.example.com/ks/dist/org/1/my_distro
url --url http://satellite.example.com/ks/dist/org/1/my_distroCopy to Clipboard Copied! Toggle word wrap Toggle overflow my_distro를 배포 버전 레이블로1을 조직의 ID로 바꿉니다. - Raw 킥스타트 프로파일은 Satellite의 호스트 이름 대신
$http_server를 사용합니다. 이는 킥스타트 템플릿이 렌더링될 때 자동으로 기입됩니다. redhat_register스니펫을 사용하여 등록을 처리합니다.
그림 2.2. Raw 킥스타트
가상화 유형
모든 킥스타트 프로파일에는 연관된 가상화 유형이 있습니다. 다음 표에서는 다양한 옵션에 대해 설명합니다:
| 유형 | 설명 | 사용법 |
|---|---|---|
| 없음 | 가상화 없음 | 이 유형은 Xen 또는 KVM이 아닌 (예: VMware, Virtage 등) 일반적인 프로비저닝, 베어 메탈 설치 및 가상화 설치에 사용합니다. |
| KVM 가상화 게스트 | KVM 게스트 | KVM 게스트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해 이 유형을 사용합니다. |
| Xen 완전 가상화 게스트 | Xen 게스트 | Xen 게스트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해 이 유형을 사용합니다.
참고
이 옵션에는 호스트 상의 하드웨어 지원이 필요하지만 게스트에서 수정된 운영 체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 Xen 반가상화 게스트 | Xen 게스트 | 이 유형은 Xen 반가상화로 가상 게스트를 프로비저닝하는데 사용됩니다. 반가상화는 가장 빠른 가상화 모드로 이는 시스템 CPU에서 PAE 플래그와 수정된 운영 체제를 필요로 합니다. Red Hat Enterprise Linux 5는 반가상화 아래에서 게스트를 지원합니다. |
| Xen 가상화 호스트 | Xen 호스트 | 이 유형은 Xen 반가상화로 가상 호스트를 프로비저닝하는데 사용됩니다. 하드웨어가 호환 가능할 경우 Xen 반가상화 게스트 및 호스트가 지원됩니다. |
Xen 호스트로 사용하기 위해 생성된 킥스타트 프로파일에는
%packages 부분에 있는 kernel-xen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KVM 호스트로 사용하기 위해 생성된 킥스타트 프로파일에는
%packages 부분에 있는 qemu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완전 가상화 시스템에는 컴퓨터의 BIOS 메뉴에서 활성화된 가상화 지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참고
킥스타트에 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Red Hat Enterprise Linux 설치 가이드의 킥스타트 설치 장에서 참조하십시오.